국립경국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부
학부소개
학부소개
연혁
비전 및 교육목표
교수소개
전망&취업
전공소개
사회복지학 전공
심리상담학 전공
대학원소개
일반대학원교육과정
학사정보
입학안내
커뮤니티
학부 공지사항
대학원 공지사항
실습&자격증 안내
장학금 안내
포토갤러리
자료실
구(아동·사회복지학부)
아동·사회복지학과(23학번)
생활복지학과(22학번)
생활복지학과(21학번)
HOME
검색
전체메뉴보기
검색
학부소개
학부소개
연혁
비전 및 교육목표
교수소개
전망&취업
전공소개
사회복지학 전공
심리상담학 전공
대학원소개
일반대학원교육과정
학사정보
입학안내
커뮤니티
학부 공지사항
대학원 공지사항
실습&자격증 안내
장학금 안내
포토갤러리
자료실
구(아동·사회복지학부)
아동·사회복지학과(23학번)
생활복지학과(22학번)
생활복지학과(21학번)
아동·사회복지학과(23학번)
생활복지학과(22학번)
생활복지학과(21학번)
대학원소개
대학원소개
학부소개
전공소개
대학원소개
학사정보
입학안내
커뮤니티
구(아동·사회복지학부)
부가정보
일반대학원교육과정
일반대학원교육과정
페이스북
밴드
블로그
카카오
스토리
http://welfarecounseling.anu.ac.kr/module/subject/list.php?mid=/grad/grad1&sbcode=graduate
URL복사
내용 이미지파일로 다운로드
내용만 열어보기
대학원소개
일반대학원교육과정
대학원소개
일반대학원교육과정
일반대학원교육과정
사회복지학석사
심리상담학석사
심리상담학박사
구분
이수구분
교과목
1학기
2학기
학점
강의
실습
학점
강의
실습
사회복지학석사
전공
고령화와 노인복지 정책세미나(GGC040)
3
3
0
사회복지학석사
전공
논문작성기법연구(GGC039)
3
3
0
사회복지학석사
전공
비판사회복지실천(GGC044)
3
3
0
사회복지학석사
전공
사회복지실천 이론과 모델(GGC043)
3
3
0
사회복지학석사
전공
사회적경제와 사회복지세미나(GGC042)
3
3
0
사회복지학석사
전공
중독문제와 사회복지실천(GGC045)
3
3
0
사회복지학석사
전공
지역사회복지와 실천(GGC041)
3
3
0
사회복지학석사
전공
청소년복지정책연구(GGC046)
3
3
0
교육과정 상세내용
고령화와 노인복지 정책세미나(GGC040)
고령화와 노인복지정책세미나는 우리나라의 노인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함과 동시에 노인복지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도모한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노인복지에 대한 개괄적 지식, 구체적으로는 노인복지 관련 법, 정책, 행정 및 재정, 노인복지현장, 노인복지서비스, 노인복지실천방법에 관련된 기초 지식을 전달 및 우리나라의 노인문제를 다차원적으로 이해하고, 관련된 법, 정책, 서비스, 현장 등을 이해하고, 노인복지현장에서 요구되는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노인복지전문가로서 기초 역량을 강화한다.
논문작성기법연구(GGC039)
본 과목은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선행과목으로써 논문작성을 위한 주제선정과 선행연구 검토, 논문 전개방법 등 논문작성과 관련된 기본적이고 실질적인 과정과 기술에 대해서 연마한다. 또한 논문작성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활용되는 다양한 통계분석기법(예: 구조방정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여 실제 소논문을 작성하여 저널에 투고함으로써 연구자로서 기본적인 연구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비판사회복지실천(GGC044)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 방법을 고찰하고 이를 대안으로 비판사회복지실천을 학습하는데 초점을 둔다. 비판사회복지실천은 클라이언트 삶의 모든 차원에 존재하며 영향을 미치는 권력과 거시적인 사회구조적 요인을 중시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접근법으로 마르크스 사회복지실천, 급진사회복지실천, 구조적 사회복지실천, 여성주의 사회복지실천, 반인종주의 사회복지실천, 반억압사회복지실천, 반차별사회복지실천 등이 포함된다.
사회복지실천 이론과 모델(GGC043)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론과 모델들을 알아보고 고찰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전통적인 이론(정신분석, 인본주의 등)에서 시작하여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관점들(페미니즘, 신자유주의, 사회정의 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각 이론의 기본적 관점을 이해하고, 사회복지 영역에 이를 적용하고 비판적으로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사회적경제와 사회복지세미나(GGC042)
사회적경제는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제 조직과 그 활동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이 과목의 목표는 사회적 경제에 대해 학생들이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과목에서는 사회적경제 의미와 필요성, 태동과 발전과정, 시민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이론, 협동조합을 비롯하여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비영리조직 등 다양한 사회적경제 단위들을 통해 사회적경제의 실재를 비교론적 관점에서 다룬다.
중독문제와 사회복지실천(GGC045)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을 포함한 중독 전반에 대한 현상과 원인을 이해하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이러한 중독문제를 다룰 수 있는 개입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물질 및 행위 중독의 원인을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예방 및 개입방법을 연구한다. 나아가 다양한 중독에 개입할 수 있는 실천적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한국사회에 만연한 중독에 대한 사회복지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사회복지와 실천(GGC04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그리고 방법론으로서 지역사회조직의 역사적 배경을 고찰함과 동시에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모델에 대한 소개와 지역복지실천 전략 및 사례분석 등을 통해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므로 지역사회의 제반 과제 해결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을 둔다.
청소년복지정책연구(GGC046)
청소년복지를 이해하기 위해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 그리고 정책 및 제도 등에 대한 제반 이론과 실천영역의 현황과 과제를 이해한다. 특히 요보호청소년 및 일반청소년의 욕구와 문제를 심층 조사, 분석하고 이들 문제들이 가족상황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이들의 복지혜택을 위한 제반 행정 제도와 대응방안을 찾아본다.